블로그 이미지
언론의 현재와 과거, 경남의 문화와 전설... 익숙하지 않은 것들에 대한 애착 무한자연돌이끼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1299)
돌이끼의 작은생각 (110)
돌이끼의 문화읽기 (477)
다문화·건강가족 얘기 (20)
경남민속·전통 (14)
경남전설텔링 (74)
미디어 웜홀 (142)
돌이끼의 영화관람 (21)
눈에 띄는 한마디 (8)
이책 읽어보세요 (76)
여기저기 다녀보니 (92)
직사각형 속 세상 (92)
지게차 도전기 (24)
지게차 취업 후기 (13)
헤르테 몽골 (35)
돌이끼의 육아일기 (57)
몽골줌마 한국생활 (15)
국궁(활쏘기)수련기 (16)
Total
Today
Yesterday
01-15 00:03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최근에 나온 영화 <인천상륙작전>과 <제이슨본>을 언제 시간을 틈타 보려고 계획했었다. 그러던 차에 오늘 경향신문에 난 강유정의 영화로 세상읽기란 글을 읽었는데, '기억'이라는 화두로 <제이슨 본>과 <덕혜옹주>를 풀어나갔다. 개인의 기억과 집단 기억을 논했다. 그 둘을 기억이라는 키워드로 연결짓기에 약간의 무리수가 있긴 하지만 <제이슨 본>에서 다룬 몸의 기억과 뇌의 기억이 철저한 개인의 기억이라면, <덕혜옹주>의 기억은 개인의 기억이지만 그것은 우리 역사에서 나타난 우리 민족의 집단기억이라는 점에서 공감대가 형성되는 거겠다.

사실 강유정의 이 글을 읽으면서 나는 또 나대로 개인의 기억이 되살아난 상황에 처했다. 어쩌면 이다지도 잘 잊어버리고 사는지 한심할 정도이긴 한데, 덕혜옹주는 불과 2년 전쯤 책으로 읽었다. 도서관에서 빌려 읽었는지 어떤 경유로 책을 접해 읽었는지는 전혀 기억나지 않는다. 아마도 여유없이 단 시간에 너무 많은 정보를 머릿속에 꾸역꾸역 집어넣었기 때문이리라. 그래도 그 줄거리만큼은 희미하게나마 떠오르는 것은 책을 읽으며 영화처럼 장면들이 기억에 소묘되었기 때문일 것이다.


그랬던 기억과 강유정의 글이 오버랩되면서 불운한 시대를 살다 간 조선 마지막 공주의 이야기를 담은 <덕혜옹주>를 봐야겠단 충둥을 피할 수 없게 되었다. 손예진의 연기에서 덕혜의 모습이 제대로 각인되기를 기대한다. 


<덕혜옹주>영화 스틸컷


‘덕계옹주의 기억’과 ‘집단의 기억’

강유정의 영화로 세상읽기(경향신문)


2000년대 액션 영화의 패러다임이 된 본 시리즈는 기억에서 출발한 작품이다. 최종병기 몸을 가진 남자가 기억을 잃었다. 몸의 세포 하나하나가 기억하고 있는 것들을 뇌가 기억하지는 못한다. 생각보다 먼저 몸이 움직이고 판단보다 실행이 앞선다. 열심히 몸을 움직이고 반응하던 남자는 스스로를 그렇게 단련한 몸의 주인, 그러니까 기억을 찾고자 한다. 자기가 자기 자신을 찾는 이야기, 이 새로운 서사 위에 몸과 몸이 부딪치는 실제적인 액션이 얹혀졌다. 이 아이러니가 새로운 패러다임이 될 수 있었던 본 시리즈의 중심이라고 할 수 있다.


9년 만에 맷 데이먼과 폴 그린그래스 감독이 함께한 본 시리즈가 개봉했다. 이번엔 제이슨 본이 기억의 상당 부분을 되찾았다. 잃어버린 조각들을 찾아 헤맨 게 지난 시리즈였다면 이번엔 대략적인 그름을 맞춘 후라고 할 수 있다. 기억을 찾는 과정이 줄거리 복원이었다면 그 이후의 작업은 서사의 재구성이라고 할 수 있다. , ‘무엇을’을 따라다니는 전작과 달리 이번 영화의 주된 질문은 ‘왜’이다. 나는 무엇인가가 아닐, 왜 ‘나’를 살인병기로 만들었고, 왜 아버지가 살해되었는가로 질문의 부사가 달라진 것이다.


오래된 이야기이긴 하지만 결국 존재란 몸과 기억의 결합체이다. 제이슨 본이 자신의 진짜 이름을 찾고 기억을 찾았다고 해서 거기서 바로 삶의 이정표를 얻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기억을 되찾자 질문이 찾아온다. 몸과 기억이 합쳐지자 그는 질문하는 존재로 바뀐다. 삶이라는 것도 그렇다. 사람은 오히려 자신을 찾게 되면 질문을 하기 마련이다.


<제이슨 본>이 재구성하고 추적하는 것은 철저히 개인의 역사이다. 비록 그가 정보원이라는 신분을 가지고 있고, CIA라는 배경을 갖고 있다고 해도, 제이슨 본은 개인이다. 이는 본 시리즈가 애초에 허구이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기도 하다. 미국의 음모, 정보기관의 완력, 권력기관의 야비함 등은 일종의 상징으로 읽힐 수 있다. 트레드스톤 프로그램이나 아이언헤드 프로그램들 역시 개연성은 있지만 그렇다고 그것이 집단기억 즉 역사는 아니다. 제이슨 본의 복수가 최종적으로 개인의 복수가 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하지만 어떤 개인의 기억이 집단 기억과 밀접하게 닿아 있다면 그 개인적 역사의 복원이 지니는 의미는 달라진다. 같은 시기에 개봉하는 영화 <덕혜옹주>의 경우가 그럴 것이다. 영화는 구한말에 태어나 일제강점기를 거쳐 살아야 했던 한 여자 이덕혜의 삶을 그리고 있다. <제이슨 본>이 모두는 알고 있지만 본인은 모르는 개인의 기억을 찾아가는 영화라면 <덕혜옹주>는 본인은 알았으나 아무도 몰랐던 이덕혜라는 인물의 역사를 보여주는 작품이다.


중요한 것은 덕혜가 만일 20세기 초, 조선에서 태어난지 않았더라면 어쩌면 오히려 더 그녀를 기억해낼 필요도 없었을 것이라는 점이다. 덕혜는 20세기 초에 태어났기 때문에, 그녀의 개인사적 기억은 개인의 기억에 머물 수가 없다. 우리의 집단 기억 속 일부와 덕혜의 삶은 기억의 DNA를 공유하고 있다. 그녀의 삶은 그저 개인의 삶일 수만은 없는 것이다.


영화 <덕혜옹주>는 그저 한 개인, 한 여자의 삶을 보여준다. 많은 부분은 그녀의 구멍 난 기록처럼 유실되고 비어 있다. 가령, 대마도 번주와 결혼한 이후 어떤 삶을 살았는지 그녀의 딸과는 어떤 삶을 살았는지는 구체적으로 그려져 있지 않다. 어떤 점에서는 그녀의 삶 자체가 영화에 역사적으로 재현되어 있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13세의 나이로 일본에 가 1962년에야 되돌아왔다. 영화에서 그려지는 것도 이 이상의 역사적 사실을 담고 있지는 않기 때문이다.


오히려 절절하게 다가오는 것은 우리가 문학적 상상력으로 체험할 수 있는 고립감과 고독감, 그리움이라는 보편적인 감정이다. 13세에 어머니의 곁을 떠나 일본으로 떠나야 했던 한 소녀, 유일하게 고국의 추억을 공유했던 친구이나 하녀인 복순을 떠나보내야 했을 심정, 결국 고국에 돌아오지 못했을 때 느꼈을 좌절감 그런 순간순간들이 영화를 통해 재현되고 또 공감의 언어로 전달된다.


결국, 역사란 그런 것일 테다. 허구의 인물 제이슨 본이 기억을 되찾아서 마침내 도달한 감정이 아버지를 잃은 분노와 슬픔이었던 것처럼 덕혜를 복원해 몰랐던 기록의 한 퍼즐을 찾아내는 것이 아니라 개인이지만 개인의 삶을 온전히 살 수 없었던 시절의 한 인물을 들여다보는 것, 간접체험 말이다. 이는 곧 공감의 다른 표현이기도 하다. 역사를 읽고 공부하고 되돌아보는 것 역시도 타인의 삶에 대한 공부이자 이해이며 공감의 방법이다.


어떤 점에서 우리는 개인의 삶을 살고 나의 역사를 가질 수 있는 시기에 살 수 있음을 감사해야 할 것이다. 어떤 기기에 태어났느냐에 따라 개인의 역사는 결코 개인만의 것이 될 수 없는 때가 있다. 잔혹하고도 큰 사건들은 한 사람, 한 사람의 다른 상대적 삶의 다양성을 허용하지 않는다. 엄혹한 시절일수록 사람의 삶은 비슷해진다. 모든 행복한 가정은 비슷한 이유로 행복하고 불행한 가정은 제각각 불행하다면 그건 불행의 얼굴이 다양하다는 뜻일 것이다.


잔혹한 시대는 그 불행의 다양성마저 빼앗는다. 개인의 기억이 개인의 기억일 수 있는 것, 그것이 사소하기에 가치 있는 삶을 지키는 길이기도 하다.

Posted by 무한자연돌이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