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언론의 현재와 과거, 경남의 문화와 전설... 익숙하지 않은 것들에 대한 애착 무한자연돌이끼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1299)
돌이끼의 작은생각 (110)
돌이끼의 문화읽기 (477)
다문화·건강가족 얘기 (20)
경남민속·전통 (14)
경남전설텔링 (74)
미디어 웜홀 (142)
돌이끼의 영화관람 (21)
눈에 띄는 한마디 (8)
이책 읽어보세요 (76)
여기저기 다녀보니 (92)
직사각형 속 세상 (92)
지게차 도전기 (24)
지게차 취업 후기 (13)
헤르테 몽골 (35)
돌이끼의 육아일기 (57)
몽골줌마 한국생활 (15)
국궁(활쏘기)수련기 (16)
Total
Today
Yesterday
01-16 00:01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지난 주말 사천 선진리성 야외공연장에서 펼쳐진 가산오광대 정기공연을 보고 왔다.


마산오광대나 창원오광대, 하기야 이 둘은 거의 유사한 탈의 모양과 스토리를 지녔기 때문에 딱히 분류하기도 애매하지만... 그리고 고성오광대, 나아가 통영오광대와도 상당히 다른 스토리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하물며 수영이나 동래야류와도 큰 차이가 있다.


가산은 가면의 특징이나 스토리 구성에서 진주와 조금 닮았다고 볼 수 있지만 그 역시 스토리 구조에선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그날 아쉬운 것은 가산오광대 여섯마당을 모두 시연하지 않았던 점과 마이크 상태가 너무 좋지 않아 대사를 전혀 알아들을 수가 없었던 점이다. 대본이야 언제든 구하려면 구하겠지만... 너무 아쉬워서 다시 공연이 있다면 전 과장을 모두 시연하는지 확인해보고 꼭 관람을 해야겠다.


다음 기사는 그날 공연한 것을 바탕으로 '가산오광대'에 관해 경남이야기에 실은 것이다. 이 글 보시는 분께선 참고삼아 읽어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오광대 탈놀음. 합천군 초계면 밤마리에서 시작되어 진주 사천(가산)으로, 또 마산, 창원, 고성, 통영으로, 여기서 더 나아가 동래나 수영으로 가서는 들놀음으로 전파되어 경남 부산지역에 행해지는 탈놀음이 오광대 탈놀음이다.


탈의 소재는 대부분 바가지나 나무, 닥종이로 탈의 형태를 이루나 가산오광대의 탈에는 종이탈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 그런 가산오광대 연희가 지난 6일 사천시 용현면 선진리성 야외무대에서 36회 정기공연으로 개최됐다.


오광대 연희는 조선시대 사회풍자를 핵심 소재로 하고 있으나 그 형태는 제의의 성격을 띠고 있다. 제의라 함은 액을 물리치고 복을 기원하는 벽사의식인데 그런 의미에서 무당이 제사상을 차려놓고 굿을 하는 것과 크게 다르지 않다.


중요무형문화재 73호인 가산오광대의 시작은 고사로부터 비롯된다. 연희가 시작되기 전, 무대 가운데엔 돼지머리를 비롯해 팥떡과 배, 사과, 바나나, 그리고 탁주가 준비되어 있다. 본격적인 연희를 앞두고 고사가 진행된다.


        본격적인 연희에 앞서 행사의 원활한 진행을 기원하며 고사를 지내고 있다.




이번 고사에는 가산오광대 연희참가자들뿐만 아니라 찬조출연하는 축동초등학교 학생들도 자리를 함께했다. 고사가 끝나면 가산오광대보존회장이 연희자들에게 각각 탈을 전달한다.


가산오광대는 총 여섯 과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각 과장이 독립된 듯하면서도 양반과장에서 등장한 큰양반이 마지막인 6과장까지 퇴장하지 않는 것을 보면 다른 오광대와는 달리 스토리가 이어지는 면모를 보이기도 한다.


대부분 오광대 탈놀음의 가장 큰 특징이 1과장은 오방신장이 나와 악사들의 풍악에 맞춰 덧배기춤을 추는 무대다. 오방신장이란, 중앙을 비롯해 동···, 이렇게 다섯 방향을 관장하는 신, 혹은 장군을 일컫는 말이다. 신과 장군이 동일시 되는 것은 장군신을 모시는 무속에서 비롯됐기 때문이다.





가산오광대 스토리의 또 다른 특징은 1과장에 등장했던 오방신들이 2과장이 시작되어도 퇴장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2과장에는 영노가 등장한다. 영노, 이 영노의 정체에 대해 딱 이것이다 라고 규정짓기 쉽지 않다. 각 지역 연희에 따라 반은 인간이고 반은 짐승인 가상동물로 해석이 되는가 하면 양반 1000명을 잡아먹으면 하늘로 승천하는 일종의 용으로 표현되기도 한다.


가산오광대에서 영노는 양반 대신 오방신장을 괴롭히는 사자형상의 존재다. 2과장에서 이 오방신장은 서울서 유람온 양반으로 묘사된다. 영노가 오방신장을 다 잡아먹고 흥겨이 춤을 추는데 이때 포수가 나타나 “땅 땅!”하고 총을 몇 방 쏘면 쓰러져 죽는다는 스토리가 독특하다.


3과장, 문둥이 과장이다. 원래 가산오광대의 문둥이는 절름발이, 입찌그랭이, 곰배팔, 언챙이, 코빠진놈, 이렇게 다섯 명이 등장해야 하나 이날 문둥이 과장에 두 명만 출연했다. 문둥이들은 장타령, 동냥거리, 투전놀이 등 생활을 통해 그들의 비참한 삶을 춤으로 나타내고 있다.







4과장부터는 양반에 얽힌 이야기가 전개된다. 큰양반의 탈은 박에다 개털을 가득 붙인 털복숭이 탈이다. 큰양반과 함께 등장하는 세 명의 작은양반들, 그리고 오광대놀음의 대표적 아이콘, 말뚝이가 등장한다.


양반들은 자기 과시를 하고 싶어서 말뚝이를 불러낸다. 그것도 아주 ‘양반스러운(?)’ 포즈를 잡고서. “이놈, 말뚝아~!” 첫 부름에 듣고 쪼르르 달려올 말뚝이가 아니다. 양반들은 돌아가면서 “이놈, 말뚝아~!”를 되풀이한다. 몇 번을 불러서야 말뚝이가 말채칙을 휘두르며 등장하는데. 양반들, 말뚝이에게 양반의 근본 자랑하려다 오히려 망신만 당하고 ‘옴메 기죽어’ 하게 된다.


오광대의 대표적 장면이어서 그런지 다른 오광대에 비해 스토리를 상당히 달리하는 가산오광대라도 이 부분은 별 차이가 없다.


5과장은 중과장이다. 조선시대 말쯤 불교가 많이 부패하면서 산에서 수도에 전념해야 할 중이 속세에 내려와 양반의 첩을 희롱하고 파계승이 된다는 얘기다. 광대들의 눈에 비친 조선 말의 사회상은 유교와 불교의 대립뿐만 아니라 사회 고위층의 위선 행위로 가득찬 모습이었을 것이다.






6과장은 할미와 영감과장이다. 다른 오광대와 달리 개털얼굴의 큰양반이 여전히 퇴장하지 않고 할미의 짝인 영감이 된다.


할미와 영감이 서울 갔다가 데려온 첩 간의 삼각관계를 다루었다. 여기에 다른 오광대와 달리 재산분배로 갈등을 일으키다 할미가 아닌 영감이 죽게 된다. 이러한 특징은 김해오광대에서도 나타나는데 동제인 ‘당산제’와 관련이 있다는 해석이다. 당산신이 여신이므로 마을굿 맥락을 따라 영감을 죽게 하고 ‘당산’ 할미를 살려내는 연희가 되었다는 것이다.


오광대 연희가 끝나면 전 배역과 관객들이 모두 어울려 한바탕 신나게 어울려 논다. 이날 공연은 이후 다른 찬조 공연이 순서를 기다리고 있었기에 뒤풀이마당은 이후 펼쳐진 동래야류가 끝난 다음으로 미뤄졌다.


이날 가산오광대 정기공연은 가산오광대와 동래야류, 두 지역의 탈놀음을 비교해볼 수 있는 자리였다. 탈의 모양도 많이 다르고 스토리도 비슷한 것 같으면서도 많이 다르다. 문화라는 것이 한 뿌리에서 시작되었다 하더라도 지역이 갈리고 세월이 흐르면 달라지는 것이 당연지사다. 창원오광대, 마산오광대, 고성오광대에 이은 이번 가산오광대 탈 연희를 보면서 각각 다름을 확인하는 것도 재미있는 관람방법이리라.





Posted by 무한자연돌이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