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언론의 현재와 과거, 경남의 문화와 전설... 익숙하지 않은 것들에 대한 애착 무한자연돌이끼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1299)
돌이끼의 작은생각 (110)
돌이끼의 문화읽기 (477)
다문화·건강가족 얘기 (20)
경남민속·전통 (14)
경남전설텔링 (74)
미디어 웜홀 (142)
돌이끼의 영화관람 (21)
눈에 띄는 한마디 (8)
이책 읽어보세요 (76)
여기저기 다녀보니 (92)
직사각형 속 세상 (92)
지게차 도전기 (24)
지게차 취업 후기 (13)
헤르테 몽골 (35)
돌이끼의 육아일기 (57)
몽골줌마 한국생활 (15)
국궁(활쏘기)수련기 (16)
Total
Today
Yesterday
01-16 00:01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은행잎이 끄트머리서부터 노란빛을 띠기 시작했다.

찬바람이 두어번 더 지나가면 햇살의 안타까운 손짓에도 불구

은행잎은 속이 타들어가듯 노랗게 노랗게 물들어 갈 것이다.

 

멀리 산도 울긋불긋 옷을 갈아입기 시작했다.

작년에도 그 전 해에도 그랬듯 햇살의 안간힘에도 불구

온산은 하나하나 옷을 찢어날리고 맨몸으로 찬바람을 견딜 것이다.

....

나뭇잎이 초록을 벗고 단풍이 들고 낙엽이 된다는 것은 슬퍼할 일이 아니다. 엊그제 경남도민일보에 난 과학칼럼을 보니 나무가 봄 여름 가을 그렇게 애지중지 뿌리로부터 빨아들인 물과 영양분으로 키워왔던 잎들을 과감하게 떨구는 것은 생존을 위한 어쩔 수 없는 선택이라고..

 

"가을이 되어 단풍이 들고 낙엽이 지는 것은 겨울나기의 시작이다. 광합성에 의해 잎에서 만들어진 당분을 가지로 보내는 것은 생존에 필수적인 과정이다. 그러나 가을이 되어 온도가 내려가면 이 작업이 둔해지고, 잎자루와 줄기 사이에는 '떨켜(離層)'라는 조직이 만들어진다. 이로써 당분의 수송은 물론 뿌리에서 잎으로 수분을 운반하는 것도 함께 중단된다. 이와 동시에 녹색의 클로로필이 분해되기 시작하고 엽록소가 점점 감소한다. 그 결과 잎에는 카로티노이드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아지기 때문에 노란색으로 물든 것으로 느끼게 된다. 은행나무나 미루나무가 그 대표적인 수종이다.

또, 잎에서 엽록소가 완전히 사라지기 전에는 햇빛을 받은 잎은 광합성을 계속한다. 하지만 줄기로 통하는 길은 이미 막혀버렸기 때문에 당분은 잎에 쌓이게 된다. 바로 이 당분이 빨간색 색소인 안토시아닌(anthocyanin)으로 합성되기 때문에 화려한 붉은색 단풍이 탄생되는 것이다.

낙엽수에 단풍이 들고 또 낙엽이 지는 것은 당연한 것으로 생각할지 모른다. 그러나 단풍과 낙엽은 수목의 생존에 큰 영향을 끼치게 된다. 나무는 뿌리에서 빨아올린 물을 잎의 기공을 통한 증산작용으로 대기 중으로 되돌려준다. 겨울은 연중 가장 건조한 계절이다. 만일 이 시기에 낙엽수에 잎이 붙어 있다면 기공을 통해 물이 점점 증발되어 버리기 때문에 순식간에 시들고 말 것이다. 가을이 되어 광량이 부족해지면 잎에서 광합성을 통해서 얻는 정(+)의 효과보다는 잎에 양분이나 수분을 보내 주는 부(-)의 효과가 더 크기 때문에 낙엽수는 자신의 잎을 버림으로써 살아남는다. 이것이 바로 낙엽수의 생존 전략인 것이다."

Posted by 무한자연돌이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