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언론의 현재와 과거, 경남의 문화와 전설... 익숙하지 않은 것들에 대한 애착 무한자연돌이끼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1289)
돌이끼의 작은생각 (110)
돌이끼의 문화읽기 (470)
다문화·건강가족 얘기 (20)
경남민속·전통 (14)
경남전설텔링 (74)
미디어 웜홀 (142)
돌이끼의 영화관람 (21)
눈에 띄는 한마디 (8)
이책 읽어보세요 (76)
여기저기 다녀보니 (92)
직사각형 속 세상 (92)
지게차 도전기 (24)
지게차 취업 후기 (13)
헤르테 몽골 (35)
돌이끼의 육아일기 (57)
몽골줌마 한국생활 (15)
국궁(활쏘기)수련기 (16)
Total
Today
Yesterday
04-28 00:35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2019통영연극예술축제 워크숍. 2019년 7월 13일 오후 1시. 통영시민문화회관 프레스룸(연습실). 주최는 통영연극예술축제위원회.

 

이날 워크숍은 1. 경희대 아트퓨전디자인대학원 김동언 교수의 공공극장과 민간예술단체와의 협력방안,

2. 부산금정문화회관 강창일 관장의 지역공공극장과 민간예술단체의 상생 협업을 위한 제언,

3. 통영국제음악재단 이용민 예술기회본부장의 지역예술단체와 통영시민문화회관의 상생 운영방안 모색의 순으로 발제가 진행됐다.

 

이날 워크숍은 따로 토론자를 두지 않고 3건의 발제와 플로 토론으로 진행됐다. 1시에 워크숍이 시작했고 3시에 극단 유목민의 공연이 잡혀 있어 진행은 빠른 속도로 이루어졌다.

 

난 애초에 옆지기의 눈치도 있고 해서 전날 공연을 마치고 나면 심야버스를 타고 돌아올 심산이었다. 하지만 내가 가장 취약한 유혹을 역시 극복할 수 없었다. 아직 술이 웬수라고 여겨본 적이 없어서. 술자리만큼 재미있는 순간이 없으니 말이다.

 

세상에 이 나이에(뭐 오심일곱밖에 되진 않았지만) 마시다 보니 아침 6시였다는 사실에 나 스스로 깜짝 놀랐으니. "박(승규) 교수, 지회장(이훈호), 날이 샜네..." "시간이 와이리 잘가노" "은자 들어가 잡시다".

 

10시 30분에 일어났는데, 9시에 옆지기의 전화로 잠시 깨긴 했지만 비몽사몽간이라 모르겠고, 개운하다. 전혀 취기도 느껴지지 않는다. 이 상황으로 미루어보건대 소주 다섯 병 이상은 안 마셨음이 확실하다.

 

쑤기미탕으로 해장하고 워크숍에 참석했다. 듣다 보니 주제가 내게 딱 필요한 내용이란 생각이 들었다. 지난주 칼럼에 '제대로 된 소극장 하나 없는 마산'이란 칼럼을 썼더랬는데, 공공공연장의 차원에서 일맥상통하고, 자료를 조만간 써먹을 수도 있겠다 싶었다.

 

2019통영연극예술축제 워크숍. 2019년 7월 13일 오후 1시. 통영시민문화회관 프레스룸

 

2019통영연극예술축제 워크숍. 2019년 7월 13일 오후 1시. 통영시민문화회관 프레스룸

먼저 김동언 교수가 발제한 내용 중에 '사랑방'의 역할에 대해 솔깃하다. 그게 활발하게 운영만 될 수 있다면 기관과 예술단체, 기자 간의 유기적 관계에 의한 문화예술의 르네상스 분위기도 만들 수 있겠다 싶었다. 50~60년 전 마산의 럭키다방이 그런 역할을 했었단 얘길 들은 적 있다. 그리고 20~30년 전엔 고모령이 그랬듯이 온갖 장르의 예술인과 기자들이 수시로 드나들며 예술문화의 꽃을 피우는데 일조했던. 그런 역할의 사랑방이라면 자연스레 새로운 창조작업도 더욱 활발해질 것 아닐까.

 

그리고 강창일 관장이  설명한 안산문화재단 사례는 벤치마크할 내용이 많아 보였다. 상주단체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재단의 노력이 다른 재단이나 문화회관, 지자체에 많이 알려졌으면 하는 바람이다.

 

이용민 통영국제음악재단 예술기획본부장은 통영 사람이다. 통영음악당과 시민문화회관을 사례로 설명했다. 음악당은 음악중심, 시민문화회관은 연극 중심. 사실 벅수골은 문화회관의 상주단체이기도 하다. 

 

이 본부장은 히딩크 같은 운영자가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단다. 그런 사람이 지금의 폴로리안이라는데. 공공극장은 기획만 잘한다고 해서 잘 돌아가는 게 아니라 운영의 묘를 잘 살려야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운영의 묘 속에는 시 직영에서 시설사업소 위탁하는 문제도 들어가 있다. 또한 벅수골 같은 오랜 세월 노하우가 시민문화회관 경영에도 참여케 하면 도움이 된다는 요지의 주장도 했다. 

 

공공공연장 운영에 있어 가치와 효율 사이에서 고민을 많이 하는데, 답은 명확하다고 했다. "대관료 수입료를 올려라"는 어느 예술극장의 대표 말에 화가 났다는 이 본부장. 적어도 수장의 입에서 나와선 안 되는 발언이라고 강조했다.

 

자료로 제시한 상주단체 벅수골 지원 현황은 차후 상주단체 관련한 일이 생기면 많은 도움이 될 것 같다.

 

발제가 끝나고 토론 시간에 질문을 하나 던졌다. 왜 지자체나 문화재단은 공공공연장을 대극장, 중극장에 집착하는가? 소극장이야말로 규모 작은 수많은 예술단체들이 실험할 수 있는 토대이자 예술 발전을 위해 필요한 시설 아닌가? 게다가 민간예술단체가 운영하는 곳이 많지만 대부분 운영난으로 힘들어하는 현실이다.

 

이 질문에 대한 답변으로 강창일 관장은 안산의 사레를 들어 소극장 무대도 활발하게 만든다고 했고 김동언 교수는 소극장을 공무원들이 관리하기엔 한계가 있다면서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했다. 그래 인식의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다. 소극장 현실을 제대로 파악하고 예술인들의 활동을 보장할 수 있게 인식이 바뀌어야겠지.

 

워크숍이 끝나고 후다닥 소극장으로 옮겨 극단 유목민의 '메데아 환타지'를 관람했다. 연출을 맡은 손정우 대표는 관람 후 극장에서 나오면서 만났다. 페이스북에 올렸지만 오랜만에 정말 감동적인 작품을 보았다.

Posted by 무한자연돌이끼
, |